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47

2023년 9월 밤하늘에서 반드시 봐야 하는 천문 현상은? 끝나지 않을 것 같은 무더위가 서서히 물러나고 있습니다. 저녁에는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고 있어 밤하늘을 관찰하기 너무 좋은 환경이 되었습니다. 9월의 밤하늘에서는 우리에게 익숙한 안드로메다 은하 관찰과 지구광이 달에 비치는 진귀한 현상, 그리고 태양계의 다른 천체들을 살펴보기 좋습니다. 9월 5일 새벽, 달과 목성, 천왕성 관찰 일시: 한국 시간으로 9월 5일 새벽 방향: 동북동 이 날은 달과 목성, 그리고 플레이아데스 성단의 정렬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같은 선상에 정렬되어 있는 천체들로 인해 동북동의 밤하늘은 굉장히 화려한 모습을 우리는 볼수가 있을 것입니다. 또한, 달의 오른쪽 아래를 살펴보면 지구로부터 약 29억 킬로미터 떨어진 7번째 행성인 천왕성이 작고 푸른 빛을 내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 2023. 9. 5.
2023년 마지막 '슈퍼 블루문'과 다양한 보름달의 이름 이야 8월 31일 목요일, 북반구에서 올해 여름의 마지막 보름달이며 올해 가장 크고 밝고 특히 빛나는 "슈퍼 블루문"이 찾아옵니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블루문"은 달이 파란색으로 물들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8월에는 보름달이 두 번 있어서 같은 달에서 두 번째 만월을 "블루문"이라고 부릅니다. 얼마 전에 "슈퍼 문"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번에는 "프룻 문" 이라고도 불리는 보름달이 찾아옵니다. 이 특이한 이름의 보름달에 대해 알아야 보겠습니다. ■ 왜 "블루문"이 발생하는가? "블루문"은 달이 한 달에 두 번 보름달이 될 때, 그 중 두 번째 보름달을 "블루문"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연간 보름달이 13번 발생하기 때문에 나타는 결과입니다. 달의 상현 주기는 평균 29.53일이며, 이를 기반으로 한 "음력.. 2023. 8. 27.
태풍에 대해 알아보자! (2) 태풍의 일생 이전 블로그에서는 태풍의 전체적인 개요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https://mkim30.tistory.com/117 이번 블로그에서는 태풍의 일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태풍의 일생을 구분하면 발생기, 발달기, 최고기, 쇠퇴기의 4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한국에는 최고기 또는 쇠퇴기의 태풍이 주로 접근 합니다. 1. 발생기 태풍은 적도 부근의 해상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바다 수온이 높은 열대 해상에서는 상승 기류가 발생하기 쉽고, 이 기류로 인해 발생한 적란운(한국에서는 여름에 많이 보이고 뭉게 구름이라고도 부릅니다)이 모아지고 소용돌이를 형성하게 되고, 소용돌이의 중심 부 기압이 떨어지면서 더욱 발달하여 열대 저기압이 되는 풍속 17m/s 를 넘어서게 되면 태풍이라고 부르게 됩니다. 2. 발.. 2023. 8. 10.
태풍에 대해 알아보자! (1) 태풍이란? 태풍은 우리 나라를 매년 강타하고, 직접 또는 간접으로 큰 재해를 초래 합니다. 태풍이 발생하고 한반도에 다가오게 되면 주변국의 기상대등에서 태풍에 대한 정보를 신속히 발표하고 신문과 TV등의 매체에서 일제히 태풍의 움직임을 전하게 됩니다. 정보 매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재해를 방지, 경감 하기 위해서는 태풍에 관한 정확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태풍이란? 열대 지방의 해상에서 시작되는 대기의 저압부를 "열대 저기압"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열대 저기압 중에서 북서 태평양(적도보다 북쪽에서 동경 180도를 넘어 서쪽 지역) 또는 남중국해에 위치하며, 그 안에서도 저기압 영역 내에서의 최대 풍속(10분 동안의 평균 풍속)이 약 17m/s(34노트, 풍력 8) 이상일 때, 이를 "태풍"이라 부릅니다. 태풍의 주.. 2023. 8. 10.
반응형